본문 바로가기
동의보감

동의보감 (내경편) - 증후학과 진단법

by 마농조아 2024. 7. 10.
728x90

1. 증후학의 주요 개념

증후학은 질병의 증상을 분석하여 그 원인과 병리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증후학은 다양한 증상과 그 조합을 통해 질병의 본질을 파악하고, 치료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팔강증후(八綱證候)

팔강증후는 동의보감의 기본적인 증후 분류 체계로, 질병을 음양(陰陽), 표리(表裏), 한열(寒熱), 허실(虛實) 네 가지 대립된 쌍으로 분류합니다.

  1. 음양(陰陽)
    • 양증(陽證): 열증(熱症)과 표증(表證), 실증(實症)을 포함합니다. 열, 표, 실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 음증(陰證): 한증(寒症)과 리증(裏證), 허증(虛症)을 포함합니다. 한, 리, 허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2. 표리(表裏)
    • 표증(表證): 병이 표면에 있는 경우로, 주로 피부와 관련된 증상입니다. 발열, 오한, 두통, 맥 부 등이 있습니다.
    • 리증(裏證): 병이 내부에 있는 경우로, 주로 장부와 관련된 증상입니다. 복통, 변비, 설사, 맥 침 등이 있습니다.
  3. 한열(寒熱)
    • 한증(寒證): 몸이 차고, 추위를 느끼며, 맥이 느리고 긴 증상입니다.
    • 열증(熱證): 몸이 뜨겁고, 열을 느끼며, 맥이 빠르고 힘찬 증상입니다.
  4. 허실(虛實)
    • 허증(虛證): 기와 혈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피로, 기력 저하, 식욕 부진, 맥 약 등이 있습니다.
    • 실증(實證): 기와 혈이 지나치게 많아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복부 팽만, 변비, 고열, 맥 실 등이 있습니다.

장부변증(臟腑辨證)

장부변증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능과 관련된 증상을 분석하여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1. 간증(肝證)
    • 기본 증상: 현맥(弦脈), 양 협통(兩脇痛), 어지러움, 눈의 문제, 감정 기복.
    • 예시: 간기울결(肝氣鬱結), 간화상염(肝火上炎).
  2. 심증(心證)
    • 기본 증상: 신맥(神脈), 심계항진, 불면증, 정신 혼란.
    • 예시: 심기허(心氣虛), 심음허(心陰虛).
  3. 비증(脾證)
    • 기본 증상: 완복창통(脘腹脹痛), 식욕 부진, 변비 또는 설사
    • 예시: 비기허(脾氣虛), 비양허(脾陽虛).
  4. 폐증(肺證)
    • 기본 증상: 기침, 천식, 코막힘, 폐기허(肺氣虛).
    • 예시: 폐열(肺熱), 폐한(肺寒).
  5. 신증(腎證)
    • 기본 증상: 요통, 이명(耳鳴), 성 기능 저하, 소변 이상.
    • 예시: 신양허(腎陽虛), 신음허(腎陰虛).

육경변증(六經辨證)

육경변증은 사상체질의학에서 유래된 개념으로, 병의 경과와 위치를 태양(太陽), 양명(陽明), 소양(少陽), 태음(太陰), 소음(少陰), 궐음(厥陰)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태양병(太陽病): 주로 표증과 관련된 증상으로, 발열, 오한,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 양명병(陽明病): 주로 열증과 관련된 증상으로, 고열, 갈증,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 소양병(少陽病): 주로 반표반리증과 관련된 증상으로, 한열왕래, 흉협고만 등이 나타납니다.
  • 태음병(太陰病): 주로 한증과 관련된 증상으로, 복부 냉증, 설사 등이 나타납니다.
  • 소음병(少陰病): 주로 허증과 관련된 증상으로, 극심한 피로, 사지냉증 등이 나타납니다.
  • 궐음병(厥陰病): 주로 기혈의 순환 장애와 관련된 증상으로, 팔다리의 냉증, 기운 없음 등이 나타납니다.

2. 증후학의 진단 절차

동의보감은 전통 한의학의 대표적인 의서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서 사용되는 질병 진단법은 사진법(四診法)이라고 불리며, 망진(望診), 문진(聞診), 문진(問診), 절진(切診)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진단법들은 환자의 외관, 소리, 질문, 촉진을 통해 병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망진(望診) - 망진은 환자의 외관을 관찰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1. 얼굴과 피부: 얼굴의 색깔, 피부의 상태(건조함, 습함 등)를 관찰하여 내부 장기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 얼굴이 붉다면 열증(熱症)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얼굴이 창백하면 기허(氣虛)나 혈허(血虛)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 혀의 색깔, 형태, 설태(혀 위의 태)를 관찰하여 소화기 및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진단합니다.
      • 혀가 붉고 설태가 두꺼우면 열증(熱症)을 의심합니다.
      • 혀가 창백하고 설태가 얇으면 기허(氣虛)나 혈허(血虛)를 의심합니다.
    3. 몸 전체: 체형, 자세, 움직임 등을 관찰하여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합니다.
      • 몸이 무겁고 움직임이 둔하면 습증(濕症)을 의심합니다.
      • 몸이 마르고 힘이 없으면 기혈허약(氣血虛弱)을 의심합니다.
  2. 문진(聞診) - 문진은 환자의 소리를 듣고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1. 목소리: 목소리의 크기, 음색, 힘 등을 통해 기와 혈의 상태를 진단합니다.
      • 목소리가 크고 힘이 있으면 실증(實症)을 의심합니다.
      • 목소리가 약하고 기운이 없으면 허증(虛症)을 의심합니다.
    2. 기침 소리: 기침 소리의 강약, 지속 시간 등을 통해 호흡기 질환을 진단합니다.
      • 기침 소리가 크고 강하면 풍열(風熱)이나 담열(痰熱)을 의심합니다.
      • 기침 소리가 약하고 지속되면 폐허(肺虛)나 기허(氣虛)를 의심합니다.
    3. 숨소리: 숨소리의 크기, 리듬, 깊이 등을 통해 호흡기와 심폐 기능을 진단합니다.
      • 숨소리가 거칠고 불규칙하면 폐열(肺熱)이나 폐기능 저하를 의심합니다.
      • 숨소리가 약하고 얕으면 기허(氣虛)나 심혈허약(心血虛弱)을 의심합니다.
    4. 냄새: 체취, 입 냄새, 소변 냄새 등을 통해 내부 장기의 상태를 진단합니다.
      • 냄새가 강하고 악취가 나면 열증(熱症)이나 담습(痰濕)을 의심합니다.
      • 냄새가 없거나 약하면 기허(氣虛)를 의심합니다.
  3. 문진(問診) - 문진은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병력, 증상, 생활습관 등을 파악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생활 방식을 통해 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설정합니다.
    1. 병력: 과거 병력, 가족 병력 등을 물어봅니다.
      •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 재발 여부를 확인합니다.
      • 가족 병력을 통해 유전적 요인을 파악합니다.
    2. 증상: 현재 나타나는 증상, 증상의 강도, 발생 시간, 악화 요인 등을 물어봅니다.
      • 증상의 지속 시간, 발현 주기, 완화 요인 등을 파악합니다.
    3. 생활습관: 식습관, 수면 패턴, 운동 습관 등을 물어봅니다.
      • 식습관이 불규칙하거나 불균형한 경우 소화기 질환을 의심합니다.
      • 수면 부족이나 과도한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신경계 질환을 의심합니다.
  4. 절진(切診) - 절진은 손으로 환자의 몸을 직접 만져서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맥진(脈診)과 복진(腹診)이 대표적인 절진 방법입니다.
    1. 맥진(脈診): 손목 부위의 맥을 짚어 맥박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 맥의 강약, 속도, 리듬 등을 통해 심혈관계와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진단합니다.
      • 맥이 강하고 빠르면 열증(熱症)을 의심합니다.
      • 맥이 약하고 느리면 허증(虛症)을 의심합니다.
    2. 복진(腹診): 복부를 눌러서 장기의 상태와 복부의 긴장도를 파악합니다.
      • 복부가 단단하고 압통이 있으면 실증(實症)을 의심합니다.
      • 복부가 부드럽고 약하면 허증(虛症)을 의심합니다.
728x90